본문 바로가기
교육

백년전쟁의 배경, 역사적 주요 단계별 내용

by moneycopyman 2023. 4. 19.
반응형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은 중세 유럽에서 일어난 대규모 전쟁 중 하나로, 군사적 충돌 이외에도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향력을 끼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백년전쟁의 배경과 역사적 주요 단계에 대해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전반적인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군사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1. 백년전쟁의 배경

  • 플랜티젠넷 가문과 발루아 가문의 경쟁
  • 프랑스의 왕위 계승 문제

2. 백년전쟁의 역사적 주요 단계

  • 1단계: 1337년~1360년
  • 2단계: 1360년~1396년
  • 3단계: 1415년~1453년

1. 백년전쟁의 배경

  • 플랜티젠넷 가문과 발루아 가문의 경쟁

백년전쟁의 배경은 플랜티젠넷 가문과 발루아 가문의 경쟁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플랜티젠넷 가문은 프랑스에서 유래한 왕위 계승 규칙을 따라, 여왕 메리 1세를 거쳐 에드워드 3세의 왕위를 계승한 가문이었습니다. 반면에 발루아 가문은 프랑스에서 권력을 쥐고 있었으며, 조반 2세를 중심으로 국가 발전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350년대 중반, 조반 2세의 사위이자 후계자인 카를 6세가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 문제가 생겼습니다. 조반 2세의 딸인 이사벨은 발루아 가문 왕위를 지키기 위해 인접 국가인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와 결혼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사벨의 잉글랜드와 발루아 가문의 동맹은 플랜티젠넷 가문에게 위협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를 계기로 1337년, 에드워드 3세는 발루아 가문에 대한 군사적 침공을 시작하여 백년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 프랑스의 왕위 계승 문제

백년전쟁의 배경은 프랑스의 왕위 계승 문제였습니다. 1337년, 프랑스에서 왕위 계승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프랑스 왕조의 마지막 남자 후계자인 카를 6세가 사망하면서 그의 딸인 이사벨과 그녀의 남편 에드워드 3세가 왕위를 노리는 발루아 가문과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이사벨은 발루아 가문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잉글랜드의 왕 에드워드 3세와 결혼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발루아 가문과 잉글랜드가 동맹을 맺고 프랑스에 대한 군사적 침공을 시작하면서 백년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백년전쟁은 이후 116년 동안 지속되며, 잉글랜드와 프랑스 사이에서의 왕위 계승 문제는 계속해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프랑스의 왕위 계승 규칙은 중세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남자 후계자에게만 왕위가 넘어가는 규칙이 적용되었습니다. 이에 반해 잉글랜드의 왕위 계승 규칙은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 후계자에게도 왕위가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규칙 차이로 인해 발루아 가문과 플랜티젠넷 가문 사이에서는 왕위 계승 문제가 지속되며, 이는 백년전쟁의 근본적인 배경이 되었습니다.

2. 백년전쟁의 주요 단계

  • 1단계: 1337년~1360년

백년전쟁은 대략적으로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는 1337년부터 1360년까지이며, 발루아 가문과 플랜티젠넷 가문의 충돌로 시작되었습니다. 1337년, 프랑스에서 왕위 계승 문제가 발생하면서 발루아 가문과 플랜티젠넷 가문이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발루아 가문과 잉글랜드는 동맹을 맺고 프랑스에 대한 군사적 침공을 시작하였습니다.

 

1337년부터 1360년까지는 잉글랜드의 성공적인 군사적 승리가 이어졌습니다. 1346년, 잉글랜드 군대는 크레시에서 프랑스 군대를 대파하며 대승리를 거두었고, 이를 계기로 잉글랜드는 칼레와 근교 지역을 점령하였습니다. 이후 1356년,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3세의 아들인 에드워드 왕자가 포이티에 전투에서 대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프랑스 국왕인 장 2세는 잉글랜드와 평화를 맺고, 1360년 브르타뉴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 조약으로 인해 잉글랜드는 프랑스의 남부 지방 대부분을 점령하게 되었으며, 이는 1단계에서의 잉글랜드의 대승리로 이어지게 됩니다.

  • 2단계: 1360년~1396년

2단계는 1360년부터 1396년까지이며, 프랑스의 반격과 잉글랜드 내부의 분열로 인해 전투가 지속되었습니다. 1369년, 프랑스 국왕 샤를 5세가 즉위하면서 프랑스는 잉글랜드와의 전쟁을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프랑스는 잉글랜드의 점령 지역을 되찾으며, 1380년 프랑스 군대는 로아의 전투에서 대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프랑스 내부에서 발생한 분열과 내전으로 인해 전쟁은 잠시 중단되었습니다. 프랑스 국왕 샤를 6세는 발루아 가문과 부르고뉴 가문의 경쟁으로 인해 왕위를 잃었으며, 1412년 프랑스 내전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2단계에서는 잉글랜드와 프랑스가 번갈아가며 전쟁에서 승리하며 전장이 번갈아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프랑스 내부 분열과 잉글랜드의 강력한 군사력으로 인해 전쟁이 장기화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3단계: 1415년~1453년

3단계는 1415년부터 1453년까지이며, 잉글랜드의 대승으로 시작하여 프랑스의 종전으로 끝났습니다. 1415년, 잉글랜드 군대는 아제인 전투에서 대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후 잉글랜드는 프랑스의 대도시를 점령하며 지속적으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1420년, 잉글랜드 군대와 프랑스 왕국은 트로아 전조약을 체결하였으며, 이에 따라 잉글랜드 군대는 프랑스의 일부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프랑스 군대의 반격으로 인해 전투가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1429년, 프랑스 군대는 잉글랜드 군대를 불로초 전투에서 패배시키며 전세를 뒤집었습니다. 이후 프랑스 군대는 잉글랜드 군대를 몇 차례 물리치며 1453년에 마지막 잉글랜드 군대를 불로초 전투에서 완패시키고 전쟁을 종식시켰습니다.

 

3단계에서는 프랑스 군대의 반격으로 인해 전쟁의 기세가 뒤집히며, 잉글랜드 군대의 쇠퇴와 프랑스 내부의 일치로 인해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후 잉글랜드와 프랑스는 각자의 영토를 수복하고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