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산

혼인, 출산 제도 2024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by moneycopyman 2024. 1. 9.
반응형

2024년 1월 1일부터는 혼인, 출산 제도가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다음글에서는 혼인, 출산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영유아 의료비 세제지원 강화,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적용대상 확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혼인, 출산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

2.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3.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4. 영유아 의료비 세제지원 강화

5.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적용대상 확대

1. 혼인, 출산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

1) 내용 :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 최대 1억 원까지 증여세 과세가액에서 공제됩니다.

 

혼인, 출산 정책
[ 혼인, 출산 제도 (출처 : 기획재정부) ]

 

 

2) 증여자 : 직계존속

 

3) 공제한도 : 1억 원 단, 기본공제 5천만 원과 별도로 적용하며, 혼인공제와 출산공제의 통합한도는 1억 원

 

4) 증여일 : 혼인신고일 이전 2년 ~ 이후 2년, 총 4년 또는 자녀의 출생일, 입양의 경우 입양신고일부터 2년

 

5) 증여재산 : 증여추정, 의제 등에 해당하는 경우 제외됩니다.

 

6) 시행일 : 2024년 1월 1일 이후 증여받는 분부터 적용됩니다.

                   단,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혼인·출생신고한 경우에도 2024년 1월 1일 이후 증여받는 경우 개정내용 적용이

                    가능합니다

 

7) 문의처 : 기획재정부 재산세제과 (044-215-4312)

2. 자녀장려금 대상 및 지급액 확대

1) 내용 : 자녀장려금 소득 상한 금액이 대폭 상향(4,000 → 7,000만 원)되고,

               최대지급액이 인상(자녀 1인당 80 → 100만 원)됩니다.

 

2) 문의처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 (044-215-4213)

3. 출산,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1) 내용 : 출산, 양육을 지원하고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하여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를 상향합니다.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 월 20만 원 개정내용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지급받는 분부터 적용합니다.

2) 문의처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 (044-215-4216)

 

4. 영유아 의료비 세제지원 강화

1) 내용 : 출산, 양육에 따른 비용부담을 완화하고자 영유아(6세 이하)에 대한 의료비 공제한도를 폐지하고 산후조리비용의 총 급여액 기준 요건을 폐지합니다. 산후조리비용 총 급여액 7천만 원 이하 기준 폐지, 공제한도 미적용 대상은 6세 이하 부양가족 추가합니다.

 

2) 시행일 : 개정내용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지출하는 분부터 적용합니다

 

3) 문의처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 (044-215-4216)

5.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적용대상 확대

1) 내용 : 사립학교 직원이 사립학교 정관 등에 의해 지급받는 육아휴직수당이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되는 육아휴직 급여·수당에 포함됩니다.

 

2) 문의처 :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 (044-215-4211)

 

같이 보면 도움 되는 글)

 

 

 

 

임신 출산 위한 정부 지원 정책 총정리 (맘편한 임신 서비스)

정부24에서는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서비스로 출산과 임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글에서는 임산부를 위한 엽산제 지원, 표준모자보건수첩,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국민행복카드), 청소

moneycopyman.com

 

임신과 출산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 내용입니다.

반응형

댓글